국내 PC·모바일 시장에서 돌풍 일으켜…국산 게임들의 중국 진출은 여전히 ‘요원’


최근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중국산 PC 온라인게임 '천애명월도' / 사진=넥슨
#직장인 김모씨는 얼마전부터 중국 개발사가 만든 모바일게임 '음양사'를 즐기고 있다. 김씨는 “과거에는 국산 게임에 비해 낮은 퀄리티 등으로 중국 게임을 외면했지만, 이제는 오히려 국산 게임보다 낫게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중국산 게임의 한국 시장 침투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반면 국산 게임들은 중국 정부의 판호 발급 지연으로, 중국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비가 되고 있다.

앱 분석 업체 아이지에이웍스가 최근 발표한 ‘2017년 국내 중국 모바일게임 성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출시된 중국산 모바일 게임은 136개로, 전년의 114개보다 22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지난해 한국 구글플레이 매출랭킹 TOP 20에 단 한번이라도 진입한 중국산 게임 수는 2016년 11개에서 지난해에는 16개로 대폭 늘었고, 이들 게임의 연간 총매출액 역시 전년대비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플레이 매출랭킹의 경우,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매출랭킹 TOP 20에 진입한 중국산 게임 중 6~10위 중간급 게임들의 연간 매출액이 전년대비 292% 급증한데 따른 결과다. 아울러 TOP 20에 진입한 중국산 게임의 게임별 연평균 매출액 또한 전년대비 20% 늘었다.

아이지에이웍스는 지난해 흥행한 중국산 게임의 특징 및 변화로, 최근 중국 게임들이 특유의 중국적인 색채를 벗어나기 시작한 점을 꼽았다. 기존에 국내에 출시된 중국산 게임은 대체적으로 중국 특유의 ‘중국풍’을 띄고 있었다. 중국풍의 캐릭터, 게임 배경, 게임 스토리 등이 그 대표적 예다. 이러한 전체적인 비주얼은 한국 유저들의 게임 선택에서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풍은 장점과 단점의 두가지 측면을 모두 갖고 있다. 장점은 중국풍에 대한 유저의 호불호가 명확해 이러한 게임을 선호하는 유저의 유입 및 획득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광고예산을 투입해도 중국풍 게임을 선호하지 않는 유저들의 유입은 어렵다.
자료=아이지에이웍스

하지만 중국게임의 이런 특징에 변화가 감지된다. 지난해 한국시장에서 인상적인 성적을 거둔 중국산 게임 중에서도 중국적인 색채를 없앤 게임이 매출이 높았다는 점이 눈에 뛴다. 지난해 구글플레이 매출랭킹 TOP 20에 진입한 중국산 게임 중 연매출액 1위를 차지한 ‘소녀전선’은 일본 애니메이션풍의 그래픽과 높은 게임 완성도를 자랑한다.

홍성민 아이지에이웍스 중국사업부장은 “중국산 게임이 중국적인 색채에서 탈피하면서 중국 외 아시아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성적을 거두는 일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중국산 게임은 모바일 시장 뿐만 아니라, PC 온라인게임 시장에서도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넥슨이 지난 1월 출시한 ‘천애명월도’는 중국게임이라는 편견을 극복, 지금까지도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다.

천애명월도는 2015년 11월 중국 텐센트 산하 오로라스튜디오에서 개발한 PC온라인게임이다. 국내 출시 첫 주말 PC방 순위 TOP10에 진입해 9위를 달성했으며, RPG장르 2위 및 무협 RPG장르 1위에 올랐다.

지난 3월 15일 ‘대규모 진영전’ 업데이트 이후에는 PC방 순위 8위 및 RPG장르 1위에 등극,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아울러 주말 동안 전주대비 동접률이 최고 56%까지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게임들의 한국 시장 진출과 관련해 우려의 시각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넷마블 방준혁 의장 역시 최근 NTP(Netmarble Together with Press)에서 중국 기업의 자본력, 개발 역량, 속도 경쟁력 등을 언급하며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3~4년 만들 게임을 중국은 상대적으로 싼 인건비 등을 활용해 1년이면 만들 수 있다”며 “속도면에서는 이미 상대가 되지 않는다. 그나마 기획력 등에선 한국이 앞섰으나, 이마저도 최근엔 거의 따라잡힌 상황”이라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중국산 게임들이 국내 시장에 속속 들어오는 가운데, 국산 게임들의 중국 시장 진출은 여전히 막혀 있다는 점이다.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해 3월 이후 현재까지 한국 게임에 단 한 건의 판호도 발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호란 중국이 자국에 출시되는 게임에 발급하는 일종의 서비스 인허가권이다. 게임 내 재화를 팔기 위해서 반드시 발급받아야 한다. 현재 일부 게임의 경우, 판호 발급 신청 후 1년 이상 중국 정부의 허가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한국 정부도 판호 획득과 관련해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여전히 해결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시장은 전 세계 빅 마켓 중 한 곳”이라며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한국 정부가 중국 정부에게 판호 발급과 관련해, 더욱 강하게 어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