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들 너무 영세해 혁신성 한계…금융권 상생 모델, 당국과 함께 고민해야

2016년부터였던 것 같다. “핀테크가 금융을 혁신시킬 수 있나요?” 라고 물어보면 돌아오는 대답은 매번 같았다. “토스가 보여주고 있쟎아요. 토스가 송금업무를 변화시켰습니다.”

 

2018. 이제 좀 다른 핀테크 서비스나 업체 이름이 나올 때가 같은데 여전히 사례는 토스 뿐이다. 슬슬 지겨워지기 시작했다.

 

비바리퍼블리카를 평가절하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핀테크 혁신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사례를 비바리퍼블리카는 보여줬다. 토스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이용자를 넓히며 보이며 핀테크 송금 플랫폼 시장을 개척했다.

 

하지만 핀테크 분야는 다양한데도 몇년째 혁신사례는 송금 플랫폼 중심으로 맴돈다는 점은 아쉽다. 핀테크 산업이 정말 발전은 하고 있는 것일까라는 의구마저 들 정도다. 국내 혁신기업 사례로 몇 년째 네이버와 카카오 애기를 듣는 것처럼.

 

핀테크 기업들은 규모가 영세하고 자본력도 열악해 이들이 혁신이라는 무거운 과제를 짊어지기에는 버거워 보이는 측면도 있다. 대기업과 열악한 중소기업으로 양분화한 몇몇 업종의 역사가 핀테크에서도 되풀이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든다.

 

지난달 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2017 대한민국 핀테크 기업 편람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288개 핀테크 기업중 종업원 수 10인 이하 기업이 43%에 달했다. 자본금 1억 미만 회사도 19.1%. 창업 열기는 뜨거워 지난 2015~2017년 창업한 기업이 54.5%에 달했다. 하지만 자체적인 마케팅과 R&D 역량으로 지속 기업으로 성장하기는 아직은 영세해 보인다.

 

그런 면에서 11일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핀테크 릴레이 간담회에서 기존 금융회사를 향해 핀테크기업과 한편에서 경쟁하면서도 서로 협력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영역에 있어서는 핀테크 기업에 먼저 손을 내밀어 줄 것을 당부한 것은 환영할만하다.

 

혁신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본이 필요한데 이는 대기업과 협력을 통하면 가능하다. 대기업은 투자와 시장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금융기관들도 전향적인 자세로 협력에 나서줬으면 한다. 금융당국이 핀테크 육성을 위해 규제를 풀라고 하지만 눈에 보이는 규제가 다가 아니다. ‘기득권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규제도 있다.

 

대부분의 핀테크 업체가 은행 등 기존 금융권을 통하지 않으면 자체적인 서비스가 어렵다. 계좌발급부터 자금세탁방지까지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으면 서비스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금융당국도 말로만 상생하라고 하지 말고 은행들이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혜택을 고민해야 한다. 은행에게도 상생에 대한 대가를 줘야 한다. 그래야 은행들도 경쟁관계에 놓일 수 있는 핀테크 기업과의 상생을 적극적으로 고민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