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가정용 충전기 공용화 제품·플랫폼 선보이지만…보조금 축소에 주춤 지적

/ 이미지=셔터스톡

전기차 충전기 공유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선 아직 충전기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까닭에 충전기 공유 사업 확대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로 공용충전소뿐 아니라 가정용 충전기도 개인 소유에서 공유형으로 바뀌고 있다. 전기차 충전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용 충전기의 공용화가 이뤄지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전기차 개인 충전기를 불특정 다수와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선보이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클린일렉스는 협대역사물인터넷(NBIoT) 통신 방식을 적용한 보급형 충전기 출시를 앞두고 있다. 요금 지불과 사용자인증에 필요한 별도의 결제 단말기 대신 NBIoT 기반 스마트폰을 활용해 앱이나 QR코드만으로 결제를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 이 플랫폼은 충전기 소유자의 설정에 따라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원하면 수수료까지 부과할 수 있다.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기업 차지인은 이런 공용 충전기에 더불어 충전기 대여자와 이용자 사이에 전자코인 시스템을 도입해 충전기를 P2P로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선보였다. 코인은 향후 실제 현금화도 가능할 전망이다.

이들 플랫폼은 별도의 공용충전소 설치 없이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확대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또 사용 시간보다 방치되는 시간이 많았던 개인 충전기의 활용도도 높인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일각에선 아직까지 보조금 의존도가 높은 국내서 충전기 공유 사업이 시장에서 발을 넓혀가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환경부에서 지원하는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이 매년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지원하는 충전기 보조금은 2015년에 스탠드‧벽부형 600만원, 이동형 100만원까지 지원됐으나, 2016년엔 스탠드‧벽부형은 400만원, 이동형은 80만원으로 한도가 축소됐다. 이어서 지난해엔 공용 충전기 보조금은 400만~500만원으로 책정됐다.

충전기 보조금이 감소하면 개인이 가정용 충전기를 구매할 가능성도 줄어든다. 아직까지 국내에선 소비자들이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까닭이다.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관계자는 “가정용 충전기 공유사업이 긍정적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충전기 설치에 대해 개인이 부담하는 가격이 상당한 탓에 사업 확장성이 큰 것은 아니다. 보조금이 줄면 당연히 사업은 축소될 것”이라며 “민간업체가 주유소처럼 확대 보급하는 게 오히려 접근성 측면에서 더 낫다고 생각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충전기 모델이 다른 일부 차종은 가정용 충전기 공유 서비스를 이용에 차질을 겪는다는 문제도 제기된다. 테슬라는 충전기 모델이 슈퍼차저로, 국산차들이 사용하는 차데모, 콤보1 모델과 호환되지 않는다. 개인 케이블 없이는 다른 충전기를 이용할 수 없다.

직장인 김아무개(남‧35)씨는 “테슬라는 슈퍼차저로 충전하기 때문에 호환되는 개인 케이블이 필요하다. 아파트나 주택에 완속충전기가 있어도 이용이 어려워 호텔에 설치된 급속 충전기를 주로 이용 한다”고 말했다.

개인 충전기를 활용한 충전소가 늘어나는 것은 긍정적이나 플랫폼 대중화를 앞두고 개선책이 요구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전기차 충전기 공유 모델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사업이다. 다만 보급을 앞두고 현실적인 측면을 검토해 봐야 한다”며 “개인용 충전기를 공용으로 사용할 시 전기세나 전기 계량적 측면에서의 기술적 측면에서 보완이 요구된다. 또 관련된 법이나 제도적 지원이 미비한 상황이라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