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2015년 평균 61.9%, 41개국중 27위…국회예산처 “성장잠재력 약화”

18일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내수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일부 신흥국 가운데 중하위권으로 나타났다. /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내수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일부 신흥국 가운데 중하위권으로 나타났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미래 성장잠재력이 약화됐다고 밝혔다.


1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내수 활성화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996∼2015년 한국의 평균 GDP 대비 내수 비중은 61.9%였다. 이는 OECD 회원 35개국과 브라질, 러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을 포함한 41개국 중 27위다.

한국의 20년 평균 GDP 대비 내수 비중은 미국(88.0%), 브라질(87.4%), 일본(84.8%) 등 보다 20%포인트 이상 낮다.

한국의 GDP 대비 내수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다. 1996∼2005년 평균 내수 비중은 70.1%였다. 2006∼2015년엔 평균 56.0%로 감소했다.

실제로 한국 경제는 최근 10여 년간 내수보다 수출 중심 성장에 의존했다. 2007∼2016년 연평균 소비성장률은 2.46%, 연평균 투자성장률은 2.44%로 수출 연평균성장률 5.25%보다 낮았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한국은 지난 10년 동안 GDP 대비 국민처분가능소득 비율과 평균소비성향이 OECD 국가 평균 보다 하락했다. 구매력 개선도 OECD 국가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해 민간소비 증가가 부진했다”며 “한국의 GDP 대비 투자 비중도 2000년대 중반 이후 정체해 미래 성장잠재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