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성능 모두 만족하는 업체 적어 수혜기업 1~2개 그쳐…성능 가장 우선시 해야 한다는 지적도

국토교통부의 첨단운전자보조장치(ADAS) 보급 확대에 따른 수혜 업체가 사실상 정해져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ADAS 업체들의 수는 5~6곳 정도인데, 제품 가격과 성능을 고려했을 때 정부 정책에 맞는 업체 수는 이보다 더 적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다만 제품 가격과 정부 보조금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20일 국토부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개정안에는 ADAS 의무 설치대상 확대 계획이 담겨있다. 비상제동장치(AEBS) 및 차로이탈경고장치(LDWS) 설치대상을 국제 기준에 맞춰 모든 승합차량과 3.5톤 초과 화물·특수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이다.

 

 

정부가 첨단운전자보조장치(ADAS) 보급 확대에 힘쓰고 있지만,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의 수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이번 의무화 대상 확대는 지난 7월 발표된 사업용 차량 졸음운전 방지대책의 일환이다. 국토부는 봉평터널 추돌사고, 경부고속도로 광역버스 추돌사고 등 대형 추돌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이를 방지하기 ADAS 장착 지원 계획을 내놓았다.

 

다만 업계에서는 국토부 정책에 부합하는 업체 수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책 취지는 좋지만 업체 수가 다양하지 못해, 제품 선택의 폭이 상당히 좁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누구를 비판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현재 이뤄지는 ADAS 보급 정책이 보조금을 지급하는 형식이다 보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예산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면서 제품 성능과 가격, 예산을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정부 정책에 맞는 업체는 한 두 군데 뿐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교통안전공단이 지난 8월 공고한 경기도 M버스 ADAS 장착지원 사업에 입찰한 업체는 피엘케이 단 한 업체뿐이었다. 당시 입찰은 경쟁조건이 성립되지 않아 유찰된 바 있다. 이후 두 번째로 진행된 입찰에는 피엘케이를 비롯해 세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지만, 결국 처음에 입찰에 참여한 피엘케이가 사업자로 선정됐다.

 

피엘케이는 앞서 경기도가 진행하는 광역버스 2400ADAS 장착 지원 사업에도 모바일 어플라이언스와 함께 선정된 바 있다. 현재 일부 버스회사들은 제품 장착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관계자는 업체 선정은 마무리 된 상태고 현재 버스운송회사들이 피엘케이와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중 한 업체 제품을 선택 구매해서 장착을 하고 있다올해 안에 장착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부 사업을 한 업체가 연달아 따내는 것이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분석한다. 가격과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업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피엘케이 제품이 다른 업체들에 비해 성능이 좋은 것은 사실이나, 성능만 놓고 보면 모빌아이가 우세하다는 게 업계 지배적 의견이다. 다만 모빌아이는 높은 가격이 매번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예산보다는 기술력과 안전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최첨단 IT 제품의 경우 성능이 최우선이다. 너무 가격이 비싼 경우에는 예산을 확대 편성하더라도 제품 선정의 폭을 넓혀주고, 후에 가격 인하를 유도하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