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안 동물복지 농장 현실성 한계 지적...전문가 “먹거리에도 ICT 도입해야”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살충제 계란 대안으로 정부가 동물복지형 농장을 내놓았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스마트팜이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앞서 지난 18일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케이지 사육을 평사가 있는 동물복지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농장 사육환경표시제를 도입하는 등 산란계 농장의 축사 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살충제 계란의 원인으로 지목된 밀실사육을 개선해 작은 철장에 닭을 좁게 가두는 것이 아닌 넓은 공간에 자유롭게 닭을 풀어놓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8월 현재 전국 3200곳이 넘는 양계 농장 가운데 동물복지 농장을 운영하는 산란계 농장은 92곳에 불과하다. 이는 전체 양계 농장의 2.8% 수준이다. 산란계 농가들은 동물복지 농장에서 나온 계란은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고 게다가 좁은 국토를 고려하면 동물복지 농장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놓고 정보통신기술(ICT)을 양계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스마트팜(smart farm)을 통해 농업 자동화와 정밀 농업을 실현하면 계란의 상태는 물론, 닭의 상태도 미리 파악해 대응할 수 있다는 논리다. 또 외부 오염원에서도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감염의 소지가 적다는 것이다.

스마트팜은 농업에 ICT를 접목한 것으로 정밀장비와 센서, 빅데이터, 자동공정 등을 활용해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이다. 가축의 성장과정을 관측할 수도 있고 사료와 살충제, 항생제 양을 개체별 특성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다. 정보력과 대응력이 함께 올라가는 구조다.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다 보니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축산물의 품질과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무살충제 인증을 받은 계란 전문 기업 가농바이오는 2014년부터 스마트팜을 도입했다. 가농바이오 관계자는 “자사 방역 체계 자체는 정부 규격보다 더 엄격하게 해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진드기가 발생하지 않아 살충제 자체를 쓸 이유가 없었다”며 “전자동으로 작동돼 외부오염원을 차단하고 공기질 등도 정밀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살충제 계란의 대안으로 스마트팜이 어떤 지에 대해 묻자 “스마트팜이 도입되면 아무래도 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어 살충제 계란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소규모 농장에서는 비용 문제와 규모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스마트팜을 도입하기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가농바이오는 지하 통로 계란 이송 시스템을 적용해 외부 오염원을 차단하고 공기 정화, 온‧습도, 압력 관리 등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스마트 농장 시스템을 갖고 있다. 또 국내에서 유일하게 계란 이송 벨트 자동 세척 시스템과 계분 자동 격리 건조 시스템을 통해 위생 관리를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