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영 명지대 교수 국회 세미나서 밝혀…“혁신보다 서로 베끼기 급급해 투자자 신뢰 잃어"

이미지=조현경 디자이너

 

IT(정보기술)와 빅데이터를 부동산과 접목한 글로벌기업 에어비앤비 등 이른바 ‘부동산테크 스타트업’이 한때 전세계적으로 붐을 이뤘지만, 지난 2016년을 기점으로 서서히 거품이 빠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업계에 만연하는 도덕적 해이와 신뢰 저하가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이상영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3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현아 의원 등과 한국부동산분석학회가 공동 주최한 세미나에 참석해 “지난 2012~2015년 사이 매년 평균 282개의 부동산테크 기업이 신설됐지만, 2015~2016년 중에는 69개가 신설되는데 그쳤다”면서 “부동산테크의 성장세 둔화는 과거 벤처 버블과 유사한 도덕적 해이와 신뢰성 저하가 영향을 준 것”이라고 밝혔다.

부동산테크(Property+Tech)는 부동산정보에 IT를 접목시킨 신생산업으로 2016년 말 현재 약 4361~4952개가 설립된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 부동산스타트업 투자는 114건 4억5100만달러에서 2016년 277건 26억9800만달러 수준을 급등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부동산테크 붐의 퇴조 원인과 관련해 미국 ‘RE:Tech’의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했다. RE:Tech가 미국 상업용 부동산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동산테크에 대한 소비자신뢰지수’ 추이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5%가 ‘부동산테크가 부동산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신설 부동산테크 기업들이 새로운 혁신을 제시하기 보다는 서로 베끼기를 한 결과”라면서 부동산스타트업의 도덕적 해이의 문제점을 중요한 화두로 꺼냈다. 그는 “부동산 핀테크 업체는 금융소비자의 재산에 피해를 끼치거나 금융시장의 질서를 교란하고 금용안정까지 저해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국내 부동산 스타트업의 발전전략도 소개했는데, 기존 부동산업에 AI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영역을 융합하는 한편 규제 개혁을 중요한 과제로 제시했다.

이 교수는 “국내 기존 부동산산업은 개발과 분양은 상대적으로 대형화되고 성숙단계 들어섰지만, 상대적으로 자산관리, 임대관리, 정보, 중개분야 등은 여전히 분산되거나 고립화돼 있다”면서 “외국에서 활성화된 중개, 크라우드펀딩, 공유경제 분야는 우리가 적극적으로 진출해볼 만한 영역”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우리나라 강점인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을 활용해 개인 중심인 우리나라 부동산 임대와 중개, 부동산대출 중개, 자산관리시장을 네트워킹해 부동산산업의 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담”면서 “이를 통해 중개단계 비용을 줄이고 유휴부동산의 활동도를 제고하고 정보 투명성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부동산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투자 제한 업종 전면 해제도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했다. 현행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제3조 및 시행령 제4조에 따르면 정부자금을 출자받은 벤처펀드는 부동산업에 투자할 수 없다.

또 이 교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법과 개인정보보호법 등으로 사실상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점이 있다”면서 “이는 부동산정보에도 동일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고, 공공 부동산 정보의 적극적인 공개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