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상승으로 에너지절약 투자 관심 높아질듯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아껴쓰자 에너지(1981년)' 포스터. / 사진=뉴스1

 

문재인 정부가 에너지 정책으로 탈석탄·탈원전을 내세우면서 LNG·신재생에너지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LNG 발전이나 태양열·풍력 발전은 단가가 높아 전기료 상승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유망산업에만 머물렀던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의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ESCO는 정부에 ESCO 사업자로 등록한 뒤 기업, 개인 등 에너지 사용자 대신 에너지절감시설에 투자한다. 이를 통해 절감되는 비용 중 일정금액을 회수하는 기업이다. 투자금을 정부에서 지원받다 보니 ESCO 시장은 정부정책자금 크기에 따라 시장 규모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진다. 지난해 기준 전체시장규모의 약 81%가 정부자금이었고 나머지 19%가 민간자금이었다. 민간자금이 성장하는 추세긴 하지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사실상 정부자금에 따라 시장 규모가 결정된다.

23일 ESCO 협회에 따르면 지난 정부 시절 등록된 ESCO 기업 수는 늘어난 반면 시장 규모는 줄어들었다. 사업체 수는 2013년 223개에서 지난해 335개로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3166억원이었던 시장규모는 1524억원으로 절반이상 쪼그라들었다. 시장 크기가 축소된 데는 2015년부터 대기업에 정책자금을 조달하지 않은 영향이 컸다.

 

ESCO 협회 관계자는 “관련 정책이 바뀌면서 대기업이 ESCO 재원을 제대로 조달받지 못하게 됐고 시장에서 이탈했다”며 “본래 취지는 ESCO 자금이 아닌 기업의 사내유보금을 이용해 ESCO 사업을 하라는 의도였으나, 의도와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수요관리과 관계자는 “대기업이 정부자금을 조달받진 못하고 있으나 자체 자금으로 에너지효율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 ESCO 시장은 대기업이 빠지면서 과도기 상태지만, 앞으로 중소기업에 ESCO 자금을 지원해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공단 관계자 역시 ​ESCO 시장은 대기업 참여 유무보단 유가나 에너지 가격의 변동과 관련이 깊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재작년 대기업, 작년 신재생에너지가 자금조달에서 제외되면서 지난해보다 자금지원율이 떨어지고 있다”면서도 “보다 직접적인 영향은 에너지 가격 하락의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ESCO 업계에서는 산업용 전기요금 상승이 ESCO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SCO 업계 관계자는 “에너지요금이 상승한다면 의뢰가 더 들어올 것으로 본다”며 “ESCO산업은 공공기관이나 산업체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아 주택용 전기요금보단 산업용 전기요금과 관련돼 있다”고 말했다. 전기요금 인상은 원가상승으로 이어진다. 에너지절약을 위해 투자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셈이다.

 

ESCO 협회도 “에너지 원가나 단가 부분이 올라간다면 에너지 절약이나 효율 측면에서의 관심도 역시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ESCO 시장 활성화는 신재생에너지 위주로 발전방식이 재편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은 “ESCO 시장이 성장하게 되면 전기료 인상 폭을 보전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면서 ​신재생에너지로 가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