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가구 이상 대단지 입주시점이 판세 좌우…국토부 "시장상황 주시할 것"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 현황 / 자료= 국토교통부
올들어 지역·월별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의 변화가 극심하다. 일례로 서울 지역의 2~4월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40% 가량 증가했다. 반면 3~5월 증가율은 22.9%에 그쳤다. 대단지 입주물량에 따라 증가율 변화폭이 좌우됐다. 2014년말 부동산 규제 완화로 착공된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입주시점'이 변수로 작용했다. 대단지 물량은 서울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월별 입주물량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국토부는 지역별‧월별 입주물량 편차에 따른 부동산 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할 방침이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5월까지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는 총 6만6442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5만5073가구) 대비 20.6% 증가한 수치다. 

이는 2~4월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의 전년 대비 증가율(35.5%) 대비 다소 낮아진 수치다. 또한 수도권과 지방 입주 예정 아파트 증가율도 같은 기간 10%포인트 가량 낮아졌다.

특히 서울 지역 아파트 증가율 변화폭이 컸다. 3~5월 서울 지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22.9% 증가했다. 이는 2~4월 증가율(149.3%) 대비 대폭 낮아진 수치다.

지역별 아파트 입주가구 증가율 편차도 이어지고 있다. 3~5월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 증가율은 수도권(13.7%↑), 서울(22.9%↑), 지방(23.4%↑) 등으로 나타났다. 

대단지 입주물량에 따라 월별, 지역별 증가율 편차가 커졌다. 일례로 3~5월과 2~4월 아파트 입주물량 변화폭이 큰 서울 지역의 경우 2월 서울 강동구 래미안힐스테이트 3658가구, 서울 종로구 경희궁자이(2, 3, 4블록) 2415가구가 증가율을 좌우했다.

대단지 입주시점이 올해 특히 집중되면서 월별·지역별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율 변화폭을 높이고 있다. 지난 2014년 7.24 대책(LTV, DTI 완화), 9.1 대책(재건축 연한 단축 등) 등으로 당해말 대규모 단지 착공이 늘었다. 해당 단지 입주가 올해 집중되면서 입주물량 변동폭이 커지는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규제완화로 인해 2014년말 착공물량이 늘었다"며 "당시 대단지 착공이 늘었다. 해당 입주물량이 올해 집중되고 있다. 이에 지역별, 월별 입주물량 편차가 올해 특히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월별, 지역별 입주물량 변화폭을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부동산 시장 여건에 따라 입주물량 소화 여부가 엇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2017년 경제정책방향 합동브리핑’에서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른 탄력적‧맞춤형 대응체계 마련 계획을 발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39만 가구로 예측된다. 지난 5년 간 평균 입주물량이 26만 가구 대비 높은 수치”라며 “지역별 소화 여부가 엇갈릴 수 있다. 이에 따른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 수도권 주요 입주단지를 보면 3월에는 서울 서대문구 e편한세상 신촌 1910가구,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센트럴자이 A21 1222가구, 경기 화성시 e편한세상 화성 1387가구가 입주한다. 4월에는 서울 강서구 힐스테이트 13단지 1194가구, 서울 영등포구 래미안 에스티움 1722가구, 경기 시흥시 B3 이지더원 840가구가 집들이를 한다. 5월에는 서울 중랑구 목동 e편한세상 화랑대 719가구, 서울 성동구 트리아제 688가구, 경기 고양시 동밀스위트 A-7 968가구가 입주한다.

주택 규모별 입주 예정 가구는 60㎡ 이하 1만8670가구, 60~85㎡ 3만9773가구, 85㎡ 초과 7999가구로 나타났다.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전체 입주 예정 가구의 88.0%를 차지했다. 주택 공급 주체별로 민간 6만2431가구, 공공 4011가구가 전국에 입주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