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임팩트 투자 등 적극 활용 경제적 성과 얻을 수 있게

 

이병태 KAIST 청년창업투자지주 대표(오른쪽 세번째)는 24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소셜 스타트업 정부 규제와 협업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를 주관하고 있다. / 사진=차여경 기자

“소셜 스타트업 투자를 위해서는 환경 변화가 필요하다. 성과 중심 투자는 소셜 스타트업에게 불리하다. 투자금 회수와 재투자 등 선순환이 이뤄지려면 제도도  바뀌어야 한다.”

사회적 활동하는 스타트업들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소셜 스타트업(신생 사회적 기업)이 사회 구조적 모순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무조건 정부 지원을 늘릴게 아니라 기업 효율과 독립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24일 김수민 국민의당 의원 주최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소셜 스타트업, 신선한 상상력으로 대한민국의 고민을 해결하다' 토론회에서는 각 부처와 벤처업계 관계자가 모여 소셜 스타트업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토론회 좌장은 이병태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 대표이사가 맡았다.

소셜 스타트업은 일종의 사회적 기업이다. 취약계층에게 사회 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한다.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며 활동하는 기업인 셈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실제 사회적 활동을 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이 참석했다. 스타트업 대표들은 정부 정책에 대한 허점을 지적했다. 소셜 스타트업이 받는 투자나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처투자업체들은 수익성과 장래성을 기반으로 투자를 결정한다.

장상익 한국벤처투자 엔젤투자본부장은 “소셜 스타트업은 성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 환경부터 바꿔야 한다”며 “재무수치도 중요하지만 (소셜 스타트업에겐) 사회적 가치를 얼마나 향상시켰냐 하는 성과를 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정부 정책만 바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제도에 안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병태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 대표는 정부 기원을 받으면 그 기준만 따라가게 된다고 지적했다. 주도적으로 회사를 이끌기 위해서는 성장과 지속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팩트(Impact) 투자는 새로운 방안으로 떠올랐다.  임팩트 투자는 투자수익을 창출하면서도 사회나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투자방식이다.

권혁태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 대표는 “지금은 1차 엔젤투자(초기투자)만 존재하지만 이제는 대형 자본들을 마련해야 할 것. 임팩트 투자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전세계 임팩트 투자는 220조원으로 큰 규모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한참 뒤쳐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권 대표는 “통념적으로 사회적 기업은 돈을 많이 벌지 못할 것이라고 여겨진다”며 “이제 임팩트 투자를 통해 소셜 스타트업도 경제, 사회적 이윤을 함께 추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소셜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정부 투자책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한국벤처투자주식회사가 운용하는 모태펀드가 있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정부 모태펀드를 잘 활용하라고 제안했다. 지난해 모패펀드는 소셜 스타트업에 182억원을 투자했다. 100억원은 정부출자, 82억원은 민간 출자다.

모태펀드는 개별 펀드들이 기업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투자조합에 출자하는 방식이다. 수익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우리나라는 2005년 중소벤처기업 투자를 위해 한국모태펀드 1조원이 조성됐다.

이순배 중소기업청 창업지원과장은 “앞으로도 사회적 기업, 소셜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투자 정책을 유지할 것이다”며 “소셜 스타트업 대표들도 이제 세계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춰 해외 시장에도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