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밀도‧초슬림 경쟁하다 한계치 넘어

사진=시사저널e

23일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에 대한 발화원인을 배터리 결함으로 최종 결론 내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배터리 결함 이면에는 디자인 즉, 얇고 가벼운 스마트폰에 대한 무모한 도전이 있었다고 입을 모았다.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밝혔음에도 의문이 이어졌다. 미국, 중국 등 외신들은 "근본적인 원인 규명이 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삼성전자가 발화원인을 배터리 문제라고 밝혔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발표를 접한 전문가들도 발화 원인이 명쾌하지 않다는 반응이다.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소속 한 교수는 진짜 모르겠다로 운을 뗐다. 주 교수는 삼성전자 발화원인 발표에 찝찝함을 느낀다배터리가 아마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자동차전지 전공 한 연구원은 배터리 공간 부족에 주목했다. 그는 커브형 디스플레이를 도입하면서 배터리 모서리 부분에 공간이 부족해졌을 것이라며 게다가 얇은 배터리 두께를 구사하면서 양극과 음극이 연결돼 쇼트가 발생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중국 ATL사 배터리 분석에 참여한 업계 관계자는 기존에는 음극판과 양극판을 구분하는 분리막에 11μm 두께를 사용했으나 갤럭시노트7에서는 9μm를 사용했다분리막이 얇아지면 배터리 폭발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무작정 얇은 분리막을 쓰는 추세가 멈출 것 같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구조적인 문제도 지적했다. 통상 스마트폰 완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디자인이 먼저 정해진다. 때로 부품 제조사와 협의하에 디자인을 정하기도 하지만 완제품회사가 원하는 방향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부품을 조달할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기회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배터리 제조사들은 전력투구해 삼성전자가 원하는 고밀도초슬림 배터리를 생산해 낸다.

 

포항공대 창의IT융합공학과 소속 한 교수는 요즘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을 겨냥하기 위해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다예전에는 안전한 여유 마진을 많이 두고 설계했던 것들이 지금은 많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삼성전자가 디자인을 결정하면 배터리 제조사는 남은 공간에 맞춰 일정 시기까지 제품을 만들어 내야 한다그러다 보면 리튬이온 폭발 한계치에 가까워 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안전과 디자인은 반비례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삼성SDI1차 리콜 때부터 문제점 개선작업에 들어갔다. 지금은 개선 작업 대부분을 완료했다. 삼성전자 차기작인 갤럭시S8 배터리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