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인프라사업 참여 위한 자금지원책 모색…수주 전담기구 신설도 구상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4일 정부세종청사 국토부 기자실에서 2017년 업무보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날 업무보고에는 해외건설 수주지원책도 담겼다. / 사진= 뉴스1
정부가 해외건설 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해외건설 수주지원 전담기구 신설, 자금지원책 마련, 인적 네트워크 확충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같은 정부 지원책에 바닥을 찍은 해외건설 수주액이 반등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282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2007년 389억 달러 이후 10년 새 가장 저조한 실적이다. 저유가 장기화로 인해 올해도 실적반등이 어렵다고 업계는 관측한다. ​올해 주택공급 과잉으로 인한 주택시장 경기 악화로 대내외 어려움이 닥칠 것으로 건설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이같은 건설업계의 어려움을 덜기위해 정부가 해외건설 수주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정부는 해외건설 촉진지원기구를 구상하고 있다. 건설산업 소관부처인 국토교통부가 해당 기구설립을 위한 세부방안을 마련 중이다. 민관합동 수주지원단인 ‘팀 코리아’ 역시 구상단계에 있다.

국토부는 이들 지원기구를 통해 국내 건설사의 ‘민관협력 투자개발형 사업(PPP)’ 수주지원에 주력할 계획이다. 투자개발형 사업은 사업 제안부터 ▲개발 ▲시공 ▲관리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건설사가 전담한다. 단순 도급 중심에서 고부가가치를 담보할 수 있게 해외건설 구조를 바꾸는 목적이다. 앞서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13일 “이제는 건설도 아이디어가 중요한 시대”라며 “국내에서도 벡텔(Bechtel) 같은 회사가 나와야 한다”고 해외건설의 체질개선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정부는 해외건설 수주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 지원책도 마련하고 있다. 앞서 국토부는 ‘2017 국토교통부 업무보고’를 통해 글로벌 인프라 투자펀드(GIF) 투자 본격화, 코리아 해외인프라 펀드(KOIF) 신규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각국에서 PPP를 통해 인프라 정비, 확충 계획을 밝히고 있다. 해당 국가의 인프라 사업에 국내 건설사가 참여할 수 있는 ‘실탄’을 정부는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해외건설 수주를 지원하기 위한 인적 네트워크도 확충할 방침이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외교부는 ▲국토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함께 건설외교를 지원하는 '대외직명대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명박 정부 당시 자원외교를 도운 ‘에너지 대사’가 임명됐지만 해외건설 수주를 돕는 대외직명대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국토부는 국가별 경제발전 공유사업(KSP) 수석고문, 명예영상 등을 포함한 인적 네트워크도 해외건설 수주에 활용할 계획이다.

정부의 해외건설 수주 지원책은 실제 가시화되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토부는 국내 건설사가 수주를 계획하고 있는 각국 프로젝트에 지원의사를 밝히고 있다. 최근 4조원대 현수교 수주전이 이뤄지고 있는 터키에서 국토부는 국내 건설사에 예산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해외건설 수주 현장에서도 이같은 정부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해외건설 수주에 있어 정부 지원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건설업계는 바라고 있다. 국내 정부가 뒤늦게 해외건설 수주지원책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국토부가 구상하고 있는 해외건설 수주지원 전담기구는 일본이 지난 2014년 만든 ‘해외교통‧도시개발사업지원기구(JOIN)’를 모델로 삼았다. 실제 해당 기구가 설립된다 해도 일본보다 3년 이상 늦은 셈이다. 뒤늦게 지원책이 마련되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 해외건설 수주지원이 필요다하고 업계는 바라본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매번 해외건설에 대한 정부지원책의 실효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있다”며 “올해도 저유가로 해외건설 업황이 좋지 않다. 정부의 해외건설 수주지원이 실효성은 물론 적극성을 담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