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리도 인상 가능성 커져…주택시장 매수심리 위축 우려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분양, 건설경기 침체가 우려된다.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연초부터 100 이하를 밑돌고 있다. / 사진 및 자료= 뉴스1, 건설산업연구원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건설업계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주택시장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정부의 잇딴 부동산 규제책과 미 금리인상이 주택시장에 부정적 효과를 유발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내년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과 한국은행의 동조화로 '주택시장 침체' 후폭풍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는 13~14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방기금 금리(FF)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미 기준금리 인상으로 건설사들의 근심도 깊어지고 있다. 주택시장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다. 건설업계는 연초부터 주택사업에 역점을 뒀다. 건설사는 주택 사업부문 인원확충 및 조직확대 등으로 국내 주택사업 부문에 심혈을 기울였다. 해외건설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건설사의 경영방침이다.

건설사들은 연말 분양물량을 집중적으로 내놓고 있다. 올해를 고점으로 주택시장 경기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주택시장 비수기인 11월과 12월 건설사의 분양계획 지수는 80.4, 79.0으로 두달 연속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지난해 같은 기간 97.0, 83.7 대비 지수 간 격차가 적다. 연말 밀어내기에 들어간 상황이다. 

이번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건설사의 연말 분양물량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대형건설사의 모임인 대한주택협회, 중소‧중견건설사의 모임인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정부 측에 ‘미국 금리인상이 주택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제기했다. 해외 투자자금 유출로 인한 부동산 매수심리 위축 가능성 때문이다. 연말 분양물량이 한해 농사를 좌우하는 만큼 건설사들의 걱정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만으로 주택시장 경기에 하방압력이 작용하진 않는다. 다만 정부의 부동산 대책, 금융규제책과 엮여 수요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냈다.

최근 정부는 부동산 규제책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잔금대출 여신심사 강화, 청약자격 요건 강화 등을 담은 ‘11.3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정부 대책의 영향으로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 11월 전국 청약자 수는 46만1704명(임대‧뉴스테이 제외)으로 직전달(82만6254명) 대비 44% 가량 감소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부동산 규제책이 부정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주택시장 수요 위축은 건설경기에도 부정적이다. 최근 건설업계 체감경기는 바닥을 기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건설업계 경기체감치인 11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76.1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대비 4.6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11월 CBSI는 올해 1월(73.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CBSI가 기준치 100을 밑돌면 건설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들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CBSI가 100을 넘을 시 그 반대다. 잇딴 정부규제책으로 인한 주택시장 수요감소가 원인이다. 

건설업계는 내년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다. 앞서 FOMC에서 연준은 내년 예상 금리인상 횟수를 2회에서 3회로 높였다. 또한 연준은 장기정책금리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공격적 행보다. 통상 한국은행(이하 한은)의 기준금리는 미국 연준의 행보를 4~6개월 뒤 뒤따른다. 내년 상반기 중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주택시장에 겹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내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주택시장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주요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식‧10년 만기) 평균 금리를 직전달 대비 0.09~0.25%포인트 올렸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내 인상하지 않았음에도 이미 대출금리가 오른 상황이다. 금리인상이 추가로 대출금리를 포함한 금융조달 비용증가를 부를 수 있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미국 금리인상이 어느정도 예견된 부분은 있다. 이에 미국 장기채 금리가 상승했고 국내 은행의 가산금리도 덩달아 올랐다"며 "내년 중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 이자상승 선반영분을 제외하더라도 대출금리는 오르게 된다. 이는 시세차익을 염두에 둔 주택구매를 위축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추가 금융규제도 건설업계의 걱정거리다. 내년 1월 1일 분양물량부터 ‘잔금대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및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적용된다. 기준금리 인상과 금융규제책이 연달아 예정됐다. 건설사들이 올해 대비 내년 주택 공급계획을 줄인 상황에서 악재가 연달아 대기하고 있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내년 한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도 줄줄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전방위적 부동산 규제와 함께 수요자들의 매수심리 위축을 부를 수 있다”며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분양시장 경기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부정적 전망을 내놨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