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기준 상향, 원산지 표기 의무화 등 철강 규제 기조에 업계 긴장

포스코 광양제철소 / 사진= 뉴스1

철강 KS기준 상향, 철강재 원산지 표기 의무화, 관급공사 시 자국산 철강재 의무 사용 등 철강재 관련 규제강화 움직임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철강재가 시공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건설현장에 부정적 이슈다. 분양물량이 늘면서 원활한 자재수급이 필요한 건설업계는 철강재 가격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가기술표준원은 4일부터 철강재 24종의 한국산업규격(KS)을 내년부터 강화한다. 새로운 KS 기준은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등 23종의 항복강도(변형 전 버틸 수 있는 최대 저항력) 기준 강화,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는 저온충격 시험 추가 등이 골자다.

철강재 KS 기준 상향으로 건설업계는 철강재 가격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기준 상향에 따라 철강제조 시 부수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철강재 가격상승은 시공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철강재는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파일 등으로 기초공사 때 폭넓게 활용된다. 철강재는 건설현장 시공원가의 10% 내외를 차지한다. 시공원가의 30~40%를 차지하는 노임단가 다음으로 철강재는 높은 비중을 보인다. 철강재가 시공원가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가격상승의 후폭풍이 클 수 밖에 없다.

KS 기준 상향 외에도 철강재 가격상승을 부를 규제안이 국회에 발의된 상태다. 

이찬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6월 29일 건설현장 안내표지판에 건설자재 및 부재 원산지 표기를 의무화하는 ‘건설산업기본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박명재 새누리당 의원은 국가 및 지자체 발주공사 시 국산 자재를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국가계약법·지자체계약법 개정안을 9월 6일 발의했다. 법안발효 시 철강재 가격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철강재 규제 강화 움직임은 급증하는 아파트 분양물량과 함께 가격상승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아파트 건설 현장에선 착공 이후 3~4개월 간 기초자재가 집중 투입된다. 이 과정에서 철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멘트의 2차 생산품인 콘크리트 파일에 활용되며 기초공사에 철근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최근 건설사들이 추석 이후 밀어내기 식으로 분양물량을 늘리고 있어 착공전환 시 철근이 대량으로 필요한 시점이 온다. 수요가 몰리면서 철강재 가격 상승폭이 커질 수 있다.

중소 건설사는 철강재 가격변동에 더 취약하다. 자재값 상승 시 건설사 구매팀은 가격인하를 위한 협상을 어느 정도 진행한다. 재고를 다량 비축했다면 협상을 그나마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대형‧중소형 건설사 모두 아파트 공사에 주력하는 상황이라 남아있는 비축량이 그리 많지 않다. 특히 중소 건설사는 대형건설사 대비 비축량이 더욱 적다. 철강 구매 시 가격상승 체감도가 클 수 있다. 

철강가격 상승요인이 점증하는 부분도 건설업계엔 부담이다. 올해 들어 건설업계와 제강사가 협의한 철근가격은 ▲1분기 톤당 52만5000원 ▲2분기 톤당 58만5000원 ▲3분기 톤당 58만5000원이다. 최근 철강업계는 철강 원료비 상승을 이유로 4분기 톤당 가격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주요 철강 수입지역인 중국 탕산시가 환경규제를 목적으로 지역 내 철강 생산업체들에게 생산중단‧축소를 요구하고 있다. 11월 28일 한국광물자원공사에 따르면11월 넷째주 중국 칭다오항 철광석 가격이 톤당 75.53달러로 전주 대비 2.3% 올랐다. 규제강화 움직임과 함께 철강재 가격상승을 더 부추길 수 있는 요인들이다.

전영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KS기준 상향과 함께 철강 선택지를 제한하는 법안이 발의되고 있다. 철강 원가상승을 부추기는 요인들이다. 철강가격 상승 시 공공공사는 설계변경 등을 통해 공사대금을 증액할 수 있다. 하지만 민간공사는 대금 증액이 어렵다”며 “건설업계에 부정적 요인”이라고 말했다. 

전 연구위원은 “철강은 시장에 대체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수요증가에 따른 공급조정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다”며 “시장안정을 위한 철강정책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