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내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지역별 양극화 심화 전망

서울 마포구 아파트전경 / 사진=뉴스1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내년에는 주택시장 경기와 건설투자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1·3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분양시장의 가수요가 줄고 평균 웃돈이 하락하면서 청약률도 떨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이 30일 공개한 ‘2017년 주택시장 전망’에 따르면, 내년 전국 매매가격은 수도권의 미미한 상승으로 보합(0%)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 집값이 0.5% 상승하고 지방은 0.7%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매매가격의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다. 올해 10월까지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0.5% 상승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3.0%)보다 상승폭이 6분의 1로 줄어든 수준이다. 수도권과 제주 등 일부 지역은 상승세가 꾸준한 반면 대구, 충청도, 경상도 등은 하락세가 뚜렷한 상황이다.

주택시장에 대한 시장인식조사를 토대로 작성한 BSI(Business Survey Index)에 따르면 내년 주택거래량은 수도권이 70.0, 지방이 72.0로 올해(103만건)보다 9% 정도 감소한 94만건이 거래될 것으로 전망됐다. BSI는 현장에서 느끼는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기준치인 100 이하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이들이 많다는 의미다.

전셋값은 서울·수도권이 0.7%, 지방이 0.2% 각각 오를 것으로 예상돼 전국적으로 0.4%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일부 경기권역에서는 입주물량이 늘면서 국지적으로 역전세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내년 공급은 올해보다 10~20%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인허가는 81만1000가구, 착공은 55만9000가구, 분양은 38만6000가구다. 입주예정 물량은 지난해부터 급증한 인허가로 올해보다 약 11% 증가한 60만6000호 수준에 달한다. 이에 대해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전셋값 상승압력을 둔화시켜 임차시장의 가격 안정화를 견인할 수 있겠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역전세난 가능성을 키우는 리스크로 작용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내년 주택시장의 5대 변수로는 대출규제, 금리, 가계부채, 공급량, 입주량으로 꼽았다.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문은 주택금융정책이다.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주택시장이 연착륙할 수 있는 금리인상폭과 속도조절이 중요하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2분기가 최대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대규모 입주와 관련해 정부의 입주 지원책과 시장환경 조성을 과제로 꼽았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년째 이어진 공급 증가가 계속되지 않도록 공급관리를 주도하고, 주택금융정책의 강도 조절을 통한 합리적인 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내년 주택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전망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