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신재생 에너지 관리 및 활용방안 제시

10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6 제로에너지 빌딩 융합 얼라이언스 포럼' 토론회 / 사진= 최형균 기자

 


 

제로에너지 빌딩 운영에서 '신재생 에너지 활용방안'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주장이 나왔다. 빌딩 내 신재생 에너지 중앙센터 운용, 대기전력 등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또 신재생 에너지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도입 필요성도 제기됐다.

10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6 제로에너지 빌딩 융합 얼라이언스 포럼'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김인수 가천대학교 IT학과 교수는 "신재생 에너지를 빌딩 내 에너지 공급 중심축이 돼야 한다"며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앙 집중형 에너지 센터를 설치해야 한다. 이곳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해야 에너지 이용률이 극대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제로에너지 빌딩은 자체 생산한 에너지를 통해 외부에서 에너지 공급 없이 운영되는 건축물이다. 신재생 에너지와 단열기술을 통한 ‘건물 에너지 효율화’가 관련 업계에서 주되게 논의되고 있다.


제로에너지 빌딩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정부 중점 사업이다. 한국은 파리 기후협약에 따라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 파리 협약에서 도출된 2030년 이산화탄소 배출전망치(8억 5060만톤) 대비 37%를 한국은 감축해야 한다. 정부는 관련 법을 입법예고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제로에너지 빌딩 인증제를 시행한다.

김인수 교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 설치면적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태양광이 지열과 더불어 실질적인 (제로에너지 빌딩 구축을 위한) 기술이다. 다만 태양광 설치를 위한 공간이 문제다. 공간 확보만 가능하면 태양광도 제로에너지 빌딩운용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복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도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을 공감했다. 다만 김인수 교수와 같이 신재생 에너지 설비 설치를 위한 한계점을 지적했다. 그는 “빌딩 내 에너지 수요가 크면 에너지 센터 설치면적이 커지는 등 비용부담이 문제”라며 “빌딩 에너지 수요를 줄이기 위해 최적화된 수준의 빌딩 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빌딩 외관 등의 모델도 제로에너지 빌딩을 위한 중요사안이란 목소리도 나왔다. 이승복 서울대 교수는 “건물에너지 성능요소는 건축 디자인에 따라 두 배 이상의 (에너지 절약)성능을 보인다”며 에너지 설비 시스템과 더불어 디자인의 중요성도 제시했다.

박세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개인별 맞춤형 전력관리 방안도 내놨다. 박세현 교수는 "센서를 통해 개인별 맞춤형으로 전력사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대기전력을 잡을 수 있다"며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재생 에너지 시장 활성화를 위한 의견도 나왔다. 소비자들이 신재생 에너지로 생성된 전기를 선택할 수 있는 '그린 프라이스(Green Price)'가 대안으로 제시된다. 영국과 미국은 그린 프라이스(Green Price) 정책을 시행 중이다. 정부는 소비자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김인수 가천대 교수는 "선진국은 그린 프라이스 정책을 시행 중이다. 해당 국가 국민들은 비싼 가격임에도 이를 기꺼이 선택한다. 정부의 적절한 유인책 덕분"이라며 "이를 통해 저렴한 신재생 에너지 비용책정이 가능하다. 제로에너지 빌딩에 필요한 제도"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