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우선 조달할 수 있는데다 미분양 따른 추가분담금 우려 없어

최근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후보구역에 선정된 서울 신림동 강남아파트 / 사진=노경은 기자

 

사업성이 낮아 공사 추진이 더뎠던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에서 ‘뉴스테이 연계형’ 정책이 묘수로 떠오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올해 초 정책 시행을 위해 첫 공모를 받을 당시에는 총 32개 사업장 가운데 15곳이 선정돼 경쟁률은 2:1 정도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달 말 발표한 2차 사업지 선정 때에는 34개 사업장이 7곳의 후보구역에 선정되기 위해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경쟁이 반년 사이에 2:1에서 5:1 남짓으로 한층 치열해진 모습이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재건축 추진이 더뎠던 서울의 일부 도시정비 사업장에서 뉴스테이 연계형 사업신청을 검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장은 지난해 말 신설된 민간 기업형 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300가구 이상의 임대주택을 건설하면 용적률 상향을 적용받아 총 일반가구 분양세대수가 늘어나게 된다. 조합은 이같은 형식으로 일반분양 아파트를 주변 시세의 80% 수준에 팔고, 임대사업자는 조합으로부터 매입한 가구를 주변보다 10% 가량 싸게 임차인에게 월세로 임대하는 형태다.

조합은 이 사업지로 선정되면 일반분양분을 일찌감치 임대사업자에게 매각함으로써 정비사업 시행에 필요한 사업비를 마련할 수 있다. 미분양에 따른 추가분담금 지출 증가의 우려가 없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또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일환이니만큼 지지부진한 사업 진행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실제 뉴스테이 연계형 사업 후보구역에 선정되면 조합은 후보지역으로 선정되고 6개월 이내에 임대사업자를 선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올 초 1차 사업장으로 선정된 인천 청천2구역과 십정2구역은 이미 임대사업자를 결정했다. 올해 안에 착공과 함께 뉴스테이 입주자 청약을 받으며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된다. 십수년 간 재개발 추진속도에 진척이 없었던 것에 비하면 괄목할만한 성과다.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강남아파트 조합원들도 이같은 사업 추진력을 기대하고 있다. 이 아파트는 1974년 준공됐는데 2004년 안전진단에서 D등급(사용제한) 판정을 받았지만 그로부터 12년이 지난 올 상반기까지만 해도 재건축은 구체화된 게 없었다. 붕괴위험 진단을 받으면서 주민 대부분은 이주했지만 여전히 200여 가구가 남아 살았던 것이다. 그러다 지난달 말 발표한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2차 후보구역에 선정되면서 서울에서는 첫 뉴스테이 연계형 재건축 사업장이 됐다. 조합원들은 새 아파트가 지어질 꿈에 한껏 부풀어 있다.

사정이 이쯤 되자 사업 진척이 더뎠던 정비사업구역 관계자들은 뉴스테이 연계형을 희망하고 있다. 동대문구의 한 재개발 조합 측 관계자는 “임대물량으로 아파트 가치가 하락하는 것 아니냐며 일부 반대하는 조합원도 있지만 사업추진 속도와 사업성 측면에서 기대할 만 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라며 “다음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지 후보 신청을 위해 조건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